1. 사망과 동시에 정지되는 시체현상에 위한 추정
위내용물에 의한 추정
가. 위 내에 음식물이 충만, 소화되지 않은 상태 - 식사 직후 사망
나. 위 및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남아 있고 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 - 식사 후 2-3시간.
다. 위는 비어 있고 십이지장에 음식물의 고형잔사 - 식사 후 4-5시간.
라. 위 및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없는 경우 식사 후 6시간 이상.
2. 사망과 동시에 진행되는 시체현상에 의한 추정
1) 체온하강 Cooling of the Body Heat, Algor Mortis
인체에서 생산되는 체온은 사망과 더불어 정지되고 복사 및 전도에 의해 주위의 온도와 비슷하게 된다. 그러나 사후 체온이 내리는 것은 주위의 환경에 좌우되기도 한다. 의복의 상태, 날씨와 계절, 사체의 크기, 사체가 놓여 있는 장소 등. 때문에 직장 내 온도를 측정하면 측정오차가 적게 나타난다.
실온 17-18℃에서 살찐 사람은 사후 10시간까지 0.75℃씩 하강, 마른 사람 1℃씩 하강, 여름에는 이 추산치에 1.4, 겨울에는 0.7을 곱한다.
직장 체온은 1시간 간격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 온도의 하강율을 구한 다음 이것을 역산하는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36℃ 1-1.5시간, 35℃ 2-2.5시간, 34℃ 3-4시간, 33℃ 4-5시간, 32℃ 4-6시간, 31℃ 5-7시간, 30℃ 6-9시간, 29℃ 7-11시간, 28℃ 8-13시간, 27℃ 9-15시간......
2)혈액취하 및 시반 (***중요-우리도 눈으로 구별할 수 있음***)
가. 출현 부위
시반은 사람이 죽으면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무거운 혈구가 신체의 낮은 곳으로 몰려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시체가 양와위를 취하고 있으면 하방부(다른 체위라도 반드시 하방)에 출현하는데 압박된 부분(땅에 닿은 부분)에는 출현하지 않는다. 때문에 측흉복부에 출현하는 것이 일반적. 그리고 외상(창)이 사망의 원인이었으면 시반이 약하게 나타난다. 또 그 빛깔은 어떻게 죽었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예) 보통은 암적갈색, 동사-익사-연탄가스-청산염 중독은 선홍색 등
나. 사후 경과시간 추정
시반의 출현은 빠르면 사후 30분부터, 평균은 사후 1시간부터. 처음에는 점상으로 나타나다 시간이 지나면 서로 융합하여 4-5시간에 이르면 커다란 반(macula)을 형성한다. 이것은 시반에 지압을 가해 보면 백색으로 변한다. 침윤성시반은 사후 10시간에 보이는데 지압을 가해도 백색으로 퇴색되지 않는다. 이때는 시체를 옮겨도 원래의 시반이 흐릿하게 남아 있고 변화된 체위에 다른 시반이 형성되어서 시체의 이동 상태나 방치된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사후 12시간에 시반이 가장 강하게 출현한다.
3). 시체경직, 시강(*** 중요 ***)
화학적 내지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한 현상
턱 및 경부에서 시작하여 상지 및 하지로 진행되는 하행형. 드물게는 상행형도 있음. 일정한 시간 후에 발생된 순서대로 소실.
하행형 시강의 경우는 빠르면 1시간, 평균 2-3시간 후에는 턱관절에서 출현, 6-7시간에는 전신에, 10-12시간에 최고조. 사후 5-7시간 이내의 시강은 인공적으로 소실시켰을 경우 재경직이 일어난다. 이후는 재경직이 일어나지 않는다. 최고조에 달했던 시강은, 여름 24-36시간, 가을 48-60시간, 겨울 3-7일에 발생된 순서대로 소실. 죽음 전에 정신적 흥분 상태나 근육에 강한 힘을 주면 그대로 경직되는데 이를 시련, 또는 즉시성시체경직이라고 한다. 예) 피해자가 범인의 옷을 움켜쥐고 죽은 경우 그대로 굳어져 옷을 찢지 않고는 도망가지 못하는 보기 드문 현상.
3. 부패와 사후 경과시간(****역시 중요****)
1) 하복부 피부의 변색 개시 24-36시간
2) 혈색소 침윤 및 부패망 형성 여름 48시간, 겨울 3-4일
3) 부패수포 및 표피박리 여름 2-4일, 겨울 10일 이상
4) 거인양외관(피부가 부패 가스로 인해 햄버거처럼 부풀어오르는 현상)
여름 3일, 겨울 2-4주
5)백골화 (성인, 지상) 여름 10일-1개월, 겨울 수개월
지상과 수중, 매장된 시체의 그 부패 속도 비율은 1 : 2 : 8임. 부패의 속도는 기후와 환경,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음. 미생물이 많은 하수구의 시체가 청결한 곳보다 빠르고, 37℃시 이상에서는 수분이 증발해 미라로 진행되며, 개방성 손상(상처)이 있으면 세균의 침투가 용이해 보다 빠르다. 또 여자가 남자보다 빠르다.
4. 곤충현상으로 사후 경과시간 추정
자연 환경에서 사람이 죽으면 식부성곤충(절지 동물과 파리)의 침습을 받게 된다. 이 곤충들은 죽은 고기를 먹는 곤충, 썩은 고기를 먹는 곤충, 피부를 먹는 곤충 및 각막을 먹는 곤충 등이다. 곤충들은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연속성을 띤다. 파리의 경우 애벌레가 있는지 번데기인지 구별하여 시간을 추정하고, 이것들이 함께 존재할 경우 몇 배(數組)가 있는지 관찰한다. 구더기는 산란 후 10-24시간 뒤에, 구더기는 8-14일 뒤 번데기로, 번데기는 12-14일에 성체. 구더기는 무작위로 많은 양을 잡아서 뜨거운 물에 튀긴 후 썩지 않도록 포르말린으로 고정시켜 그 길이를 재서 사망 시간을 추정하기도 한다.
** 시체의 사망 시간 추정은 이상의 여러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
그런데 큰 문제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제 너무 원시적이라는 거죠. ^^;;
아니 이제가 아니라 처음부터 그다지 과학적이지 못했습니다. 모두 그런 것이 아니라 시반이나 위
내용물로 사망시간을 추정하는 것이 가장 비합리적이라는 것입니다. 아직도 이런 거에 의해서 추정하거나 그것을 역으로 범인이 이용, 알리바이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를 우린 명탐정 코난과 같은 추리만화를 통해 보고 있지만 말입니다
위내용물에 의한 추정
가. 위 내에 음식물이 충만, 소화되지 않은 상태 - 식사 직후 사망
나. 위 및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남아 있고 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 - 식사 후 2-3시간.
다. 위는 비어 있고 십이지장에 음식물의 고형잔사 - 식사 후 4-5시간.
라. 위 및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없는 경우 식사 후 6시간 이상.
2. 사망과 동시에 진행되는 시체현상에 의한 추정
1) 체온하강 Cooling of the Body Heat, Algor Mortis
인체에서 생산되는 체온은 사망과 더불어 정지되고 복사 및 전도에 의해 주위의 온도와 비슷하게 된다. 그러나 사후 체온이 내리는 것은 주위의 환경에 좌우되기도 한다. 의복의 상태, 날씨와 계절, 사체의 크기, 사체가 놓여 있는 장소 등. 때문에 직장 내 온도를 측정하면 측정오차가 적게 나타난다.
실온 17-18℃에서 살찐 사람은 사후 10시간까지 0.75℃씩 하강, 마른 사람 1℃씩 하강, 여름에는 이 추산치에 1.4, 겨울에는 0.7을 곱한다.
직장 체온은 1시간 간격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 온도의 하강율을 구한 다음 이것을 역산하는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36℃ 1-1.5시간, 35℃ 2-2.5시간, 34℃ 3-4시간, 33℃ 4-5시간, 32℃ 4-6시간, 31℃ 5-7시간, 30℃ 6-9시간, 29℃ 7-11시간, 28℃ 8-13시간, 27℃ 9-15시간......
2)혈액취하 및 시반 (***중요-우리도 눈으로 구별할 수 있음***)
가. 출현 부위
시반은 사람이 죽으면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무거운 혈구가 신체의 낮은 곳으로 몰려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시체가 양와위를 취하고 있으면 하방부(다른 체위라도 반드시 하방)에 출현하는데 압박된 부분(땅에 닿은 부분)에는 출현하지 않는다. 때문에 측흉복부에 출현하는 것이 일반적. 그리고 외상(창)이 사망의 원인이었으면 시반이 약하게 나타난다. 또 그 빛깔은 어떻게 죽었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예) 보통은 암적갈색, 동사-익사-연탄가스-청산염 중독은 선홍색 등
나. 사후 경과시간 추정
시반의 출현은 빠르면 사후 30분부터, 평균은 사후 1시간부터. 처음에는 점상으로 나타나다 시간이 지나면 서로 융합하여 4-5시간에 이르면 커다란 반(macula)을 형성한다. 이것은 시반에 지압을 가해 보면 백색으로 변한다. 침윤성시반은 사후 10시간에 보이는데 지압을 가해도 백색으로 퇴색되지 않는다. 이때는 시체를 옮겨도 원래의 시반이 흐릿하게 남아 있고 변화된 체위에 다른 시반이 형성되어서 시체의 이동 상태나 방치된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사후 12시간에 시반이 가장 강하게 출현한다.
3). 시체경직, 시강(*** 중요 ***)
화학적 내지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한 현상
턱 및 경부에서 시작하여 상지 및 하지로 진행되는 하행형. 드물게는 상행형도 있음. 일정한 시간 후에 발생된 순서대로 소실.
하행형 시강의 경우는 빠르면 1시간, 평균 2-3시간 후에는 턱관절에서 출현, 6-7시간에는 전신에, 10-12시간에 최고조. 사후 5-7시간 이내의 시강은 인공적으로 소실시켰을 경우 재경직이 일어난다. 이후는 재경직이 일어나지 않는다. 최고조에 달했던 시강은, 여름 24-36시간, 가을 48-60시간, 겨울 3-7일에 발생된 순서대로 소실. 죽음 전에 정신적 흥분 상태나 근육에 강한 힘을 주면 그대로 경직되는데 이를 시련, 또는 즉시성시체경직이라고 한다. 예) 피해자가 범인의 옷을 움켜쥐고 죽은 경우 그대로 굳어져 옷을 찢지 않고는 도망가지 못하는 보기 드문 현상.
3. 부패와 사후 경과시간(****역시 중요****)
1) 하복부 피부의 변색 개시 24-36시간
2) 혈색소 침윤 및 부패망 형성 여름 48시간, 겨울 3-4일
3) 부패수포 및 표피박리 여름 2-4일, 겨울 10일 이상
4) 거인양외관(피부가 부패 가스로 인해 햄버거처럼 부풀어오르는 현상)
여름 3일, 겨울 2-4주
5)백골화 (성인, 지상) 여름 10일-1개월, 겨울 수개월
지상과 수중, 매장된 시체의 그 부패 속도 비율은 1 : 2 : 8임. 부패의 속도는 기후와 환경,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음. 미생물이 많은 하수구의 시체가 청결한 곳보다 빠르고, 37℃시 이상에서는 수분이 증발해 미라로 진행되며, 개방성 손상(상처)이 있으면 세균의 침투가 용이해 보다 빠르다. 또 여자가 남자보다 빠르다.
4. 곤충현상으로 사후 경과시간 추정
자연 환경에서 사람이 죽으면 식부성곤충(절지 동물과 파리)의 침습을 받게 된다. 이 곤충들은 죽은 고기를 먹는 곤충, 썩은 고기를 먹는 곤충, 피부를 먹는 곤충 및 각막을 먹는 곤충 등이다. 곤충들은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연속성을 띤다. 파리의 경우 애벌레가 있는지 번데기인지 구별하여 시간을 추정하고, 이것들이 함께 존재할 경우 몇 배(數組)가 있는지 관찰한다. 구더기는 산란 후 10-24시간 뒤에, 구더기는 8-14일 뒤 번데기로, 번데기는 12-14일에 성체. 구더기는 무작위로 많은 양을 잡아서 뜨거운 물에 튀긴 후 썩지 않도록 포르말린으로 고정시켜 그 길이를 재서 사망 시간을 추정하기도 한다.
** 시체의 사망 시간 추정은 이상의 여러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
그런데 큰 문제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제 너무 원시적이라는 거죠. ^^;;
아니 이제가 아니라 처음부터 그다지 과학적이지 못했습니다. 모두 그런 것이 아니라 시반이나 위
내용물로 사망시간을 추정하는 것이 가장 비합리적이라는 것입니다. 아직도 이런 거에 의해서 추정하거나 그것을 역으로 범인이 이용, 알리바이를 조작하게 되는 경우를 우린 명탐정 코난과 같은 추리만화를 통해 보고 있지만 말입니다